맨위로가기

전한 문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한 문제는 전한의 제5대 황제이다. 그는 대왕으로 봉해진 후 여씨 세력 제거 후 황제로 추대되었다. 그는 검소하고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쳐 '문경지치'로 불리는 태평성대를 이룩했으며, 흉노와 화친 정책을 유지하고 남월과 평화 관계를 맺었다. 조세 감면, 육형 폐지, 언론 자유 보장 등 개혁 정치를 통해 백성의 부담을 덜어주었고, 유교적 덕목을 실천하며 효심이 지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57년 사망 - 오저
    오저는 전한 시대의 장사왕으로, 아버지 오우의 뒤를 이어 장사왕이 되었으나 아들이 없어 장사국이 폐지되면서 전한의 이성 제후왕이 사라지게 되었다.
  • 전한 고제의 황자 - 유여의
    전한 고조 유방의 아들 유여의는 척부인의 소생으로 고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여태후와 중신들의 반대로 황태자 경쟁에서 실패한 후 대왕과 조왕에 봉해졌지만 여태후의 미움을 받아 독살당하고 그의 죽음은 혜제에게 정치적 무관심을 야기했다.
  • 전한 고제의 황자 - 전한 혜제
    전한 혜제는 고조 유방과 여태후의 적자로 태어나 전한의 제2대 황제에 즉위했으나, 여태후의 섭정으로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지 못하고 정치에 뜻을 잃어 국정을 소홀히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전한 문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문제의 사후 [[송나라]] 묘사, [[두루마리]]에서 발췌,
한문제의 사후 송나라 묘사, 두루마리에서 발췌, "자리를 거부함"
유항 (劉恆)
묘호태종 (太宗)
시호효문황제 (孝文皇帝)
존호황제 (皇帝)
출생기원전 203/202년 장안, 한나라
사망기원전 157년 7월 6일 (46세) 장안, 한나라
매장지파릉 (霸陵)
배우자여씨
효문황후
신부인
자녀경제
양효왕 유무
유참, 대 효왕
유이, 양 회왕
이름 없는 아들 넷
관도장공주
장평공주
왕조한나라 (서한)
부황고제
모후고황후
통치
재위 기간기원전 180년 11월 14일 – 기원전 157년 7월 6일
연호전원 (前元) 기원전 179–164년
후원 (後元) 기원전 163–156년
계승자소제 (여후의 섭정 하)
후계자경제

2. 즉위 전

기원전 196년, 진희가 모반을 일으켰으나 고제에게 패전한 후 문제대나라 왕으로 봉해졌다.[9][10][11] 왕후 왕씨와의 사이에서 네 아들을 두었으나 모두 요절했고, 첩 두씨(효문황후)에게서 아들 유계와 유무를 얻었다. 여태후 통치 시기인 기원전 181년에는 유회 사후 조왕 후보에 올랐으나 사양했다. 기원전 180년, 여태후가 죽고 주발, 진평, 제애왕, 성양경왕 등이 여씨 세력을 토벌하면서 황제로 추대되었는데, 원래는 제애왕이 황제감 이었으나 외척 세력(어머니 박씨)이 약한 대왕(문제)이 추대되었다.

생모 박씨는 왕실 출신 여성을 어머니로 두었으며, 진나라 말 혼란기부터 초한 전쟁 초기 위표의 후궁이었다. 허부라는 관상가는 박씨가 황제를 낳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유방과 박희의 관계는 유방에 동조하여 항우에 대항했던 위표가 팽성에서의 대패를 계기로 반란을 일으킨 데서 시작된다. 한신에게 패한 위표는 평민으로 강등되었고, 박씨는 유방의 후궁으로 들어가 잡일에 종사했지만, 유방의 눈에 띄어 하룻밤 인연을 맺었다. 그 후에는 거의 유방과 관계를 맺지 않았다고 전해지지만, 박씨는 유항(문제)을 낳았다.

2. 1. 대왕 시절

기원전 196년, 아버지 고제(유방)가 진희의 반란을 진압한 후, 유항은 대나라 왕으로 봉해졌다.[9][10][11] 대나라는 흉노와 국경을 맞대고 있었으므로, 유항은 흉노의 침입을 막는 중요한 임무를 맡았다. 그는 흉노의 문화와 군사 전략을 익히며 국경 방어에 힘썼다.

대나라의 수도는 산시성 진양에 있었다가 후에 산시성 중도현으로 옮겼다.[9][10][11]

기원전 181년, 이복형 유회가 죽은 후 여태후가 조나라 왕위를 제안했으나, 유항은 흉노 방어의 중요성을 이유로 사양하고 대나라에 남았다.[2][3]

3. 황제 즉위

기원전 180년, 여태후가 사망하자 진평, 주발 등 건국의 원훈과 고조의 손자인 제왕 유양, 주허후 유장정변을 일으켜 여씨 일족을 숙청하였다(여씨의 난).[1] 유양과 유장 형제는 유방의 서장자인 제도혜왕 유비의 아들들이었고, 여씨 일족을 제거한 공으로 유양이 황제에 오르고 유장은 제왕에 봉해질 것으로 예상되었다.[1]

그러나 권력욕이 강한 외척을 가진 제왕이 황제가 되면 다시 외척의 전횡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1] 대신들은 몰락 귀족의 후예로, 권력욕이 적고 인격자라는 평판이 있던 박씨를 생모로 둔 유항을 황제로 추대했다.[1] 유항은 생존한 고조의 아들들 중 가장 나이가 많았고, 장유의 순이라는 점도 설득력을 더했다.[1]

하지만 유항의 즉위에 대해 대국에서는 반대하는 목소리가 있었다.[1] 고조와 함께 전란의 시대를 살아남았고, 정변을 일으켜 여씨 일족뿐만 아니라 황제까지 폐위하고 살해한 원훈들을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1] 황제 즉위를 요청하는 사자가 장안과 대국을 다섯 번이나 왕복한 끝에, 유항은 즉위를 결심하였다.[1] 유항은 즉위에 반대하는 세력이 많았기에, 소수의 측근과 6대의 마차만으로 장안에 입성했다.[1]

4. 문경지치(文景之治)

문제는 검소함을 몸소 실천하고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쳐, 아들 경제(景帝)와 함께 '문경지치(文景之治)'라는 태평성대를 이룩했다. 시황제(始皇帝)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인위적인 정치를 지양하고, 백성의 삶을 안정시키는 데 힘썼다.[4]

황로학(黃老學)의 영향을 받아 백성에 대한 불간섭과 법률 완화라는 일반적인 정책으로 나라를 다스렸다. 조세 감면, 요역 경감, 연좌제와 육형(肉刑) 폐지, 언론 자유 보장 등 개혁 정치를 통해 백성의 부담을 덜어주었다. 유학자 가의(賈誼)의 치안책(治安策)을 받아들여 민본(民本) 정치를 실현하고자 했다.[4]

두황후(기원전 135년 사망)의 묘에서 나온 도기 여인 시종들, 서한, 산시 역사 박물관, 시안


황제가 자리에 앉아 대신 원앙의 말을 상림원에서 경청하고 있다.


병든 어머니를 시시때때로 간호하는 한 문제(안쪽)


문제의 통치는 중국 역대 절대군주와는 달리 대외원정이나 대토목 사업을 일으키지 않고 백성을 쉬게 하는 안정화 정책이었다. 회남왕 유장의 모반사건을 계기로 가의나 조조(鼂錯)는 중앙정부를 강화하고 지방세력을 약화시키는 정책을 강력히 주장하였지만, 문제는 민생의 안정을 흔들 것을 우려하여 제후왕과의 대결을 피하고 군국제(郡國制)를 유지하였다.[4]

문제의 뒤를 이은 경제(景帝)도 부친의 정책을 답습하여, 문제·경제 재위 40년간(기원전 180년 ~ 기원전 141년) 안정된 사회에서 농촌은 생산력을 회복하고 국력이 번영했다. 이러한 사회적 번영과 경제력 회복은 무제(武帝) 시대의 막대한 국가운영과 대외원정을 감행할 수 있었던 배경이 되었다.[4]

문제 16년, 상서로운 징조라고 할 수 있는 문자가 새겨진 옥배가 발견되어 기념으로 개원하여 다시 원년이라고 칭했다. 두 번째 개원 이후는 "후 원년", "후 2년"이라고 칭했다.[4]

4. 1. 경제 정책

문제는 백성들의 생활 안정과 경제 회복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을 펼쳤다. 세금 감면과 요역 경감은 그의 주요 정책 중 하나였다. 고조 시대에 15분의 1이었던 토지세(田租)를 30분의 1로 줄였고, 심지어 말년에는 토지세를 완전히 폐지하는 파격적인 조치를 단행했다.[4] 이는 백성들의 부담을 크게 덜어주어 민생 안정에 기여했다.

또한, 백성들이 자유롭게 화폐를 주조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는 경제 활성화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등통과 같이 황제의 총애를 받는 인물이나 오왕 유비와 같이 구리 광산을 소유한 특정 세력에게 부가 집중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4]

문제의 이러한 경제 정책은 진나라의 가혹한 정치로 피폐해진 백성들에게 안정을 가져다주었으며, 농촌 경제 회복과 국력 강화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는 훗날 무제 시대의 대외 팽창 정책을 위한 재정적 기반이 되었다.

4. 2. 법제 개혁

문제는 백성들의 복지에 관심을 가지고 법률을 완화하는 정책을 펼쳤다. 특히, 가혹한 형벌이었던 육형을 폐지하고 태형으로 대체했다.[6] 또한, 범죄자의 가족을 연좌(連坐)하는 법을 폐지하여 무고한 피해를 막았다.[7] 이러한 개혁은 백성들의 삶을 안정시키고, 이전 시대와는 다른, 보다 민본적인 사회로 나아가는 데 기여했다.

4. 3. 대외 관계

문제는 흉노와 화친(和親) 정책을 유지하여 북쪽 국경의 안정을 도모했다.[4] 기원전 174년, 흉노의 새로운 선우인 노상이 권력을 잡자, 문제는 공주를 그에게 시집보내는 화친 정책을 지속했다. 또한, 조조의 제안에 따라 백성들이 흉노에 대항하는 북방 방어군을 위해 식량을 기부하면 작위를 주거나 죄를 사면해 주는 정책을 시행했다.

문제는 남월과 평화 관계를 맺어 남쪽 국경의 안정을 확보했다. 기원전 179년, 경제 봉쇄로 여태후를 불쾌하게 만든 남월과 평화를 맺었다. 문제는 조타에게 존엄성을 유지하며 평화를 제안하는 겸손하지만 단호한 편지를 쓰고, 조타의 고향인 정정에 남아있는 조타의 친척들을 돌봄으로써 평화를 이루었다.

5. 평가

문제는 검소하고 어진 성품으로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쳐, '문경지치(文景之治)'라는 태평성대를 이룩한 성군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유교적 덕목을 실천하고 백성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노력한 모범적인 군주로 여겨진다.[4] 특히 어머니 박(薄)씨에 대한 효심이 지극하여 '이십사효(二十四孝)'에 꼽히기도 했다.

문제는 도교 신봉자였던 부인 두황후의 영향을 받아 백성에 대한 불간섭과 법률 완화 정책을 펼쳤다. 그의 검소하고 관대한 성품은 백성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문제의 주요 정책은 다음과 같다:


  • 기원전 179년, 반역죄를 제외한 범죄자의 가족을 연좌제에서 제외하고,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정부 지원 프로그램을 만들어 과부, 고아 등에게 대출이나 세금 면제 혜택을 제공했다. 또한 남월과 평화 조약을 맺어 국경 지역의 안정을 도모했다.
  • 기원전 178년, 일식 이후 관리들에게 정직한 비판과 인재 추천을 요청하고, 세금과 강제 노동을 줄이려 노력했다.
  • 기원전 175년, 백성들이 구리와 주석으로 돈을 주조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 기원전 167년, 얼굴에 문신을 새기거나 코나 발을 자르는 형벌을 태형으로 대체했다.


문제의 치세는 아버지 고조나 손자 무제 시대에 비해 눈에 띄는 업적은 부족했지만, 사회 안정을 통해 백성들이 환영하는 시대를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치세는 아들 경제의 치세와 함께 "문경지치"로 칭송받으며, 풍요로운 시대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제후왕에 대한 온건한 정책은 훗날 오초칠국의 난의 원인이 되었다는 비판도 받는다. 그러나 제후왕가의 분할 상속은 오히려 반란 진압에 도움이 되었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6.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고조 유방전한 제1대 황제
어머니효문태후 박씨
왕후(적처)대왕후한 문제가 대왕(代王) 시절에 맞이한 왕후. 문제가 황제로 즉위하기 전에 사망했으며, 황후로 추존되지 않아 왕후로 남음.
황후(후처)효문황후 두씨본래 후궁이었으나 유항이 황제가 되면서 황후가 됨
후궁신부인
후궁윤희
자녀이름비고
아들 (요절)미상4남 모두 요절[8]
장녀관도장공주 유표부마: 당읍후 진오, 외손녀: 무제의 황후 진아교
장남한 경제 유계손자: 무제
차남양효왕 유무
3남태원왕 유참생모 미상
4남양회왕 유읍생모 미상, 추락사[8]
차녀창평공주생모 미상


7. 연호

(전원, 기원전 179년 ~ 기원전 164년)과 (후원, 기원전 163년 ~ 기원전 157년)은 전한 문제 때 사용된 연호이다. 엄밀히 말하면 문제는 연호를 정식으로 제정하지 않았고, 단순히 재위 연도를 언급했다. 그러나 술사 신원평()의 건의로 역법을 재설정하면서 재설정 전후 시기를 구분하기 위해 후대 역사가들이 전원과 후원이라는 연호를 소급 적용하였다.[1]

연호기간간지비고
전원(前元)기원전 179년 ~ 기원전 164년임술 ~ 정축
후원(後元)기원전 163년 ~ 기원전 157년무인 ~ 갑신역법 재설정


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Vol. 12 196-11-12
[2] 서적 Zizhi Tongjian, Vol. 13 181-03-05
[3] 서적 Zizhi Tongjian, Vol. 13 181-07-01
[4] 서적 Passions of the cut sleeve : the male homosexual tradition in China http://worldcat.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2
[5] 웹사이트 Scientists find emperor's tomb after centuries of honour for wrong location https://www.scmp.com[...] 2021-12-18
[6] 서적 Book of Han, Vol. 24
[7] 서적 Book of Han, Vol. 24
[8] 서적 史記 梁孝王世家
[9] 서적 사기 권10 효문본기제10
[10] 서적 사기 권8 고조본기제8
[11] 문서
[12] 서적 서경잡기(西京雜記)
[13] 문서
[1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